top of page

NAS(Network-Attached Storage)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은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 자체를 완벽하게 바꿔놓았습니다.

과거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을 이용해 작업을 진행해야 했던 일들이 이제는 인터넷이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와 인터넷만 연결되면 어디에서든 인터넷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자료의 보관과 이용에도 더 나은 방식들이 생겨났습니다.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나 자료의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시작했으며, 플렛폼을 이용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각자의 저장장치를 구축해 사용하는 개인 및 기업들도 많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기업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기반 저장장치인 NAS(Network-Attached Storage)는 저장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NA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AS(Network-Attached Storage)


Network-Attached Storage(NAS)

출처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Network-attached_storage



NAS란 네트워크가 결합된 저장장치로, 쉽게 말하면 인터넷 또는 랜선을 이용한 내부망으로 연결된 외장 하드 디스크입니다.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의 저장장치로, 위에 언급한 클라우드 서비스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용도에 맞춰 구축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NAS는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어 외부에서 NAS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인터넷 회선의 성능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제약을 받을 수는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부분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빠르게 NAS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NAS에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화면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지 않으며 다른 컴퓨터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됩니다.


1980년대 Novell, IBM, Sun, 3Com 등의 회사들이 원격 파일 서버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이 시스템들의 성공에 힘입어 1990년대 초 3Com은 데스크톱 환경을 위한 최초의 NAS 시스템을, Auspex System은 유닉스 시스템을 위한 NFS(Network File System)서버를 개발했습니다.

초기 NAS의 용도는 파일의 공유였지만, 현재는 기능이 늘어나 데이터 백업은 물론 영상 및 음악 스트리밍, 가상 머신, 웹 페이지 호스팅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등, 실질적으로 서버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교한 NAS의 장, 단점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교한 NAS의 장점


NAS는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NAS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왜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닌 NAS를 구축해서 이용할까요?


가장 큰 이유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료 때문입니다.

G사와 D사, N사 등과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기본 용량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저장 공간을 늘려야 할 경우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그 용량이 커질수록 꽤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요즘은 기업은 물론, 개인들도 고화질의 사진이나 동영상들로 인해 테라바이트(Terabyte)가 넘어가는 용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것은 금전적으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에 반해 NAS는 처음 구축할 때 비용이 들어가긴 하지만 구축해 놓으면 저장 용량을 늘리고 싶을 때 하드 디스크를 추가하는 비용을 제외하면 전기 요금 외에 특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교한 NAS의 단점


그럼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교해 NAS가 가진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가장 큰 단점은 NAS의 구입부터 설치, 설정, 그리고 사용 중 데이터의 관리를 직접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NAS는 일반 서버보다는 설정이나 관리가 쉽지만, 서버나 IT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나 기업의 비전문가가 쉽게 구축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물론 NAS를 개인 용도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NAS를 판매하는 업체들도 점차 더 쉽게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단순 데이터 공유 용도가 아닌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단 데이터를 업로드 하고 접속 계정에 대한 보안만 철저히 한다면, 데이터의 안전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책임을 지기 때문에 이용자가 데이터의 안전성을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NAS는 이용자가 직접 하드 디스크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안전성을 직접 책임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의 고장과 같은 물리적인 피해나, 바이러스나 랜섬웨어의 피해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손상은 모두 이용자가 직접 감당해야 합니다.




출처


Comments


카테고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