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300 Software 사용 방법
이미 많은 사용자 분들이 질량 유량 측정기(Mass Flow Meter / Controller) 를 컴퓨터와 연결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Teledyne Hastings 에서도 Digital Mass Flow...


와트(W - Watt)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전기 요금 고지서를 확인해 보면 kwh(Kilo Watt per Hour) 이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전기제품의 라벨을 확인해 보면 역시 W(Watt) 라는 단어가 눈에 띕니다. 와트는 1초간 1 J(Joule)의 에너지 소비에 상당하는...

직류와 교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앞서 우리는 전하의 흐름을 전류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전류 흐름의 유형으로는 직류와 교류라는 것이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직류와 교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류와 교류 직류는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저항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가 공을 던지면 던져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에 의해 저항이 일어납니다. 위와 같이 물체가 움질일 때는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그 물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이 발생하는데, 그것을 바로 저항이라고 합니다. 물체 뿐만 아니라 열이나 전기의...


전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는 평소에 '전기가 흐른다' 또는 '전기가 올랐다' 라는 표현을 씁니다. 여기에서 전기가 흐르는 것을 과학적으로 이야기 하면 '전류가 흐르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전류는 전하의 흐름으로,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이라고 정의할...


전압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도 전압, 전류 정도는 언젠가 과학시간에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220 볼트를 사용한다' 정도만 알고 전자제품의 플러그만 콘센트에 꽂거나 건전지를 사이즈와 모양으로만 구분하는 필자와 같은 과학...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아보가드로는? 중학교인지 고등학교인지 기억도 안나는 과학 시간에 들었던 아보가드로의 법칙은 아메데오 아보가드로(Amedeo Avogadro)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알아보기 앞서 아보가드로에 대해 간단하게 먼저 알아보도록...

MFM/MFC (Mass Flow Meter/Controller) 의 유량 단위
Mass Flow Meter/Controller 에서는 어떤 유량을 쓸까요? 질량 유량계에서는 여러가지의 유량 단위를 사용하지만 주로 사용 하는 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ccm (cc/m - cc per minute : 1분에 몇 cc 가...

Mass Flow를 이용한 기밀시험
기밀 시험(Leak Test)의 정밀도와 효율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지난 글에서 시스템 및 제품의 누출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방법들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버블 테스트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아직도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열식 질량 유량계의 작동 원리
왜 질량 유량계라고 부르는건가요? 질량 유량계(MFM / MFC)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왜 질량 유량계라는 이름으로 불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소(Nitrogen)와 산소(Oxygen), 헬륨(Helium) 등 기체는 각자 다른...